라이프/건강 정보

독감 무료접종 대상 2020년

또르봉 2020. 10. 21. 19:57
반응형

쓸데없는 말 안 하고 바로 본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독감 무료접종 대상

독감 무료접종 대상 2020년 질병관리본부 발표

 

어르신 

만 75세 이상 (1945.12.31 이전 출생자) - 2020.10.13 ~ 2020.12.31

만 70 ~74세 (1946.01.01~ 1950.12.31 출생자) - 2020.10.20 ~ 2020.12.31

만 62 ~ 69세 (1951.01.01 ~ 1958.12.31 출생자) - 2020.10.27 ~ 2020.12.31

독감 무료접종 대상

어린이

생후 6개월 (2회 대상자)(2008.01.01 ~ 2020.08.31 출생자) - 2020.09.08 ~ 2021.04.30

~만 12세 (1회 대상자)(2008.01.01 ~ 2020.08.31 출생자) - 2020.09.22 ~ 2020.12.31

만 13 ~18세 (1회 대상자)(2002.01.01 ~ 2007.12.31 출생자) - 2020.09.22 ~ 2020.12.31

 

임산부

2020.09.22 ~ 2021.04.30 (임산부 증명서류 제시)

독감 무료접종 대상

아시다시피 인플루엔자 백신은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한 백신으로, 코로나 19를 예방할 수 없습니다.

또한 2주 후에 항체가 생기므로 최대한 서둘러서 접종을 하면 좋겠죠.

올해 무료 접종 대상자가 크게 확대가 되었죠.

 

여기서 우리는 왜 다들 독감 무료접종 대상을 검색하는지를 알아야 하는데요.

결론을 말씀드리면 우선 지원 계층이 늘어난데 있습니다.

특히 노인, 어린이, 청소년, 임산 부층이 늘어나면서 올해 1900만여 명으로 늘어났기 때문이고요.

기존의 3종 바이러스를 예방하는 3가 백신에서 4종을 예방할 수 있는 4가 백신으로 변경됐습니다.

독감 무료접종 대상

생후 6개월 미만의 영아의 경우 독감 백신 접종의 유효성, 안전성 등이 검증되지 않아 접종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즉 가족분들이 철저하게 독감 백신을 접종하여 감염 위험을 예방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성인 일반인의 입장에서 봤을 때는 다소 서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왜 나는 독감 무료접종 대상이 아닌가 하고 말이다. 

성인 일반인 기준 접종 비용은 3가 백신이 1~2만 원대, 4가 백신은 2~4만 원대입니다.

뭐 여러 가지 이유로 접종 비용이 차이가 날 수 있지만, 이 시국에는 건강이 최우선임을 알아야 한다.

독감 무료접종 대상

또한 서울시 지자체 취약계층(고위험군) 및 강남구 거주 국가유공자를 대상으로 확대되었다.

 

보육교사 및 보육시설 종사자, 산후조리원 종사자,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사

아동 돌봄 센터(키움센터,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장애인, 정신시설 생활자

대중교통 운전사, 환경미화원, 150세대 이상 공동 주택 경비원 등이다.

 

2020.10.15 ~ 2020.11.30까지 만 19 ~ 61세 (1959년 ~ 2001년 출생자)

재직증명서와 신분증 (2020.09.30 재직 기준)을 준비하면 된다.

독감 무료접종 대상

또한 2020.10.13 ~ 2020.11.30, 주민등록상 강남구 거주 국가유공자

만 19 ~ 61세 (1959년 ~ 2001년 출생자)

국가유공증과 신분증을 준비하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