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건강 정보

가스라이팅 뜻

TTODO 2020. 10. 21. 09:18
반응형

안녕하세요 알뜰살뜰입니다.

 

오늘은 평소에는 듣기 힘든 단어, 가스라이팅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가스라이팅 뜻

 

여러분들은 가스라이팅(Gaslighting)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타인을 통제하고 정신적으로 황폐화시키는 심리학 용어로 직장 혹은 가정, 연인 사이에서도 자주 일어나는 심리 현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스라이팅의 의미와 예시를 알아보며 대처하는 방법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가스라이팅이란?

가스라이팅 뜻

가스라이팅은 가해자가 타인의 심리나 상황을 교묘하게 조작해 본인을 의심하고 무력하게 만든 후 지배력을 행사하고 피해자를 가해자에게 의존적 이도록 만드는 심리 현상입니다.

 

심리와 상황 조작을 통해 타인의 마음에 자신에 대한 의심을 불러일으켜 현실감과 판단력을 잃게 만듦으로써 그 사람을 정신적으로 황폐화시키기 때문에 심리학에서는 아주 끔찍한 심리적 조작 수법으로 불립니다.

 

아주 간단한 예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나는 평소에도 교통법규를 잘 지키며 운전하는 모범 운전자다. 그러던 어느 날 운전 중에 초록불이 아닌데 누군가가 내 차에 뛰어들어 대뜸 내 차에 치였다고 바닥에 드러 누웠다. 분명 나는 사람을 친 적이 없었는데 내 차에 치여 아프다는 사람의 소리를 듣고 내 자신을 의심하게 된다.

"내가 정말 그 사람을 치였나? 내가 실수라도 한 건가? 다치신 건 아닐까?"

가슴은 병에 걸린 것 마냥 거침없이 쿵쾅거리며, 머릿속이 하얘져 식은땀만 흐른다. 결국 그 사람은 나를 겁박하고 무력하게 만들어 자신이 원하는 요구대로 따라가게 상황을 주도한다. 그러나 그 사람은 보험금을 위해 운전자를 대상으로 사기를 치는 보험 사기꾼이었다.

선량한 시민을 상대로 사기를 치는 보험 사기꾼처럼 피해자의 두려움과 의심을 불에 기름 붓는 것 마냥 크게 만들고 그런 피해자를 자신의 마음대로 지배하려는 가해자.

피해자의 의견을 부정적으로 비난하고 지적하여 선택과 결정의 의구심을 갖게 만드는 가해자.

 

가스라이팅은 물리적 폭력이 안 보일 뿐이지 엄연한 정서적 폭력입니다.

 

가스라이팅을 겪고 있다는 징후

가스라이팅 뜻

가스라이팅의 경우 피해자들은 자신을 피해자라고 인지를 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가해자를 가해자라 생각하지 않기에 자신이 얼마나 위험한 상황에 놓여있는지를 잘 몰라합니다. 아래와 같은 징후들이 보인다면 의심을 가져 보시길 바랍니다.

 

  • 평소 자신이 한 말을 되새기어 보고 자책하며 후회한다.
  • "예전보다 내가 예민해졌나?"라고 자주 자문한다.
  • 늘 상대방에게 머리를 숙이며 사과한다.
  • 가끔 너무나도 혼란스럽고 상황이 제대로 돌아가고 있는지 의심한다.
  • 더 이상 설명하기 싫어서 말하지 않고 숨기는 경우가 있다.
  • 간단한 결정조차 스스로 내리기가 힘들다.
  • 이전보다 자신감이 떨어지고 의기소침해졌다.
  • 미래에 대한 희망이 없으며 웃음이 줄어들었다.

분명 누군가와 사귀거나 일을 하면서 위와 같은 징후를 느껴보신 적이 있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한번 자신의 상황을 되새기어 보며 누군가에게 휘말리고 있는지 생각해보세요.

 

가스라이팅의 가해 방식

가스라이팅 뜻

가스라이팅 학대 방법은 거부 , 반박 , 전환, 경시 , 망각 5가지로 나타납니다.

 

거부: 학대 가해자가 피해자의 말을 아예 듣기 자체를 거부하거나 이해되지 않는 척한다.
예) 이제 그런 얘기 좀 그만해. 지긋지긋하다. 더는 듣고 싶지도 않아. 이거 다신 듣고 싶지 않아

반박: 학대 가해자가 피해자의 기억을 무조건 불신한다. 
예) 언제 그랬다는 거야. 너 완전 잘못 기억하고 있어. 네가 틀렸어, 너는 결코 사물을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해

전환: 학대가해자가 화제를 전환하거나 피해자의 생각을 의심한다.
예) 뻔해. 이거 또 말도 안 되는 헛소리하네.

경시 : 피해자의 요구나 감정을 하찮게 여겨지게 만든다.
예) 그러니까 네가 무시를 당하지

 

망각: 학대 가해자가 실제 발생했던 일을 일부러 까먹은 척하거나 자기가 피해자에게 했던 약속을 부인한다.

예) 무슨 소린지 모르겠다, 넌 그냥 지어내는 거야

 

가스라이팅 대처방법

가스라이팅 뜻

가스라이팅의 피해자임을 인지하게 되었다면 잘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자신감을 회복한다.

 

가스라이팅의 가해자는 피해자의 옮고 그름을 판단하는 능력을 부정하게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그렇기에 스스로 판단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자신감을 회복해야 합니다.

 

2. 이성을 챙긴다.

 

많은 가스라이팅의 피해자들 대부분은 나 보다 타인에게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맞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타인보다 나 자신에게 집중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3. 가해자의 전략을 파악한다.

 

피해자임을 인지하게 되었다면 가해자가 무슨 의도로, 어떤 방식으로 자신을 괴롭히고 있는지를 파악해야 합니다. 이후 조력자를 찾아 도움을 청한 뒤 상황에서 빠져나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4. '나'는 '나'임을 기억하자.

 

"너 좀 이상하다, 왜 그런 걸 해?"라며 가해자들은 피해자의 모든 것을 부정적으로 표현합니다. 이런 경우 "그건 네 생각이고"라 대답하여 피해자가 자신에게 간섭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5. 취미를 만든다.

 

가스라이팅의 피해자들은 의지하는 상대가 가해자일 확률이 높습니다. 많은 스트레스와 무력해졌기 때문에 가해자에게 기댈 확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인데요. 이런 상황을 막기 위해 취미를 만들어 스트레스를 풀고 집중력을 길러 내 삶의 주도권을 찾으셔야 합니다.

 


가스라이팅 뜻

가스라이팅은 언제 어디서든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전보다 무기력해지고 자신감이 사라진 자신을 보게 되었다면 한번 가스라이팅의 피해자가 된 것이 아닌지 의심을 가져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