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임대차 3 법의 실행으로 인해 부동산 시장이 요동치고 있습니다.
임대인들의 경우 전세를 꺼려 할 수밖에 없는 구조인데요.
이로 인해 임차인들은 앞으로가 막막하기도 하고 답답할 것입니다.
그래서 여러분들도 아마 공공임대 혹은 공공분양에 관심을 가지게 될 텐데요.
우리들의 가장 큰 숙제인 집 구하기.. 그중에서 오늘은 신혼부부 특별공급 자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신혼부부의 경우 결혼 준비를 하면서 가장 큰 걱정이 아마 집이었을 것입니다.
너무 비싼 가격에 어떻게 준비를 해야 할까.. 싶겠죠.
그래서 다들 공공임대나 공공분양에 관련된 영상 혹은 정보를 찾아보실 텐데요.
일반 분양의 경쟁률은 너무 치열하다 보니 신혼부부 특별공급을 노려보시는 게 현명할 수 있습니다.
일생에 단 한 번만 당첨이 가능한 제도이기 때문에 신중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신혼부부 특별공급 자격
신혼부부 특별공급 조건이 쉽지만은 않을 것 같습니다.
우선 세대 구성원 모두가 무주택자이어야 합니다. 혹시라도 소유하고 있는 주택이 있다면 당연히 조건에 해당하지 않죠.
다만 신혼부부 특별공급 자격인 만큼 혼인 신고전 소유하던 집을 매도할 경우 무주택자로 보기 때문에 무작정 혼인신고하기 전에 계획을 짜야할 것 같습니다.
언제 까지가 신혼부부 일가요? 모집일 기준 7년 이내의 혼인 기간을 가지고 있다면 신혼부부입니다.
결혼을 한 지 7년이 넘었다면 신청 자체를 할 수 없으니 참고 바랍니다.
예를 들어 2015년 1월 1일에 결혼을 하였다면 2022년 1월 1일 입주 공고가 올라온 주택까지만 신청이 가능한 것이죠.
혼인신고를 하였다면 민영주택과 공영주택을 조건에 맞춰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만 예비부부들의 경우 민영주택은 신청이 불가능 한 점 참고하셔야겠습니다.
청약 기준도 빠질 수가 없겠죠. 모집 공고일 기준으로 최소 6개월, 납입 횟수 6회 이상이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청약 통장은 무조건 미리 만드셔야 하겠습니다. 언제 어떤 조건으로 사용될지 모르기 때문이죠.
소득이 많은 사람이 당첨될 확률은.. 조금 적겠지요? 월평균 소득기준 민영의 경우 외벌이 120%, 맞벌이 130%이고요.
국민의 경우 외벌이 100%, 맞벌이 120%이고 자산기준이 별도로 존재합니다.
국민의 경우 부동산가액은 2억 1550만원 이하, 자동차가액은 2764만원 이하로 보유해야합니다.
2020년 기준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을 보면 2인 가구 기준 100% 437만9809원, 120% 525만5711원, 130%569만3752원이고. 3인 가구 기준 100% 562만6892원, 120% 675만2276원, 130% 731만6966원입니다.
청약 주택을 신청하는 경우 가산제도가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신혼부부 특별공급 제도 또한 가산점이 있는데요.
신혼부부의 경우 혼인 신고 후 빠르게 신청할수록 가산점을 많이 받을 수가 있습니다.
3년 이하는 3점, 5년 이하는 2점, 7년 이하는 1점인 것을 보면 발 빠르게 움직여야겠죠?
하지만.. 자녀의 경우 태아 포함하여 3명 이상일 경우 3점을 받습니다.
자녀당 1점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이렇게 되면 혼인 신고 후 7년 가까이 되신 분들이 유리하다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신청 지역에 거주한 기간 또한 가산점 부여가 되는데요, 3년 이상은 3점, 1년 미만은 1점, 3년 미만은 2점으로 거주기간의 가산점을 받는 것은 천운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청약 납입 횟수 또한 가산점이 있는데요. 최소 6회 이상이어야 신청이 가능했잖아요? 6회 이상~ 12회 미만은 1점, 12회 이상 ~ 24회 미만은 2점, 그 이상은 3점 이기 때문에 청약통장 및 납입 횟수는 청약에서 제일 중요하고 미리 대비해야 합니다.
즉, 결론은 혼인신고하고 자녀가 많고 그 기간이 짧을 수록 유리하고, 신청 지역 거주 기간이 3년 이상, 청약 납입 횟수가 24회 이상이면 가장 좋겠죠?
하.. 조건이 참 힘들죠? 오늘은 이렇게 신혼부부 특별공급 자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예외 조건, 특별 조건등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에서 참고하시면 되고, 이 글에선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꼭 당첨 되십시요.